룰라 (음악 그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룰라는 1994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혼성 음악 그룹이다. 1994년 데뷔 앨범 《Roots Of Reggae》의 타이틀곡 "백일째 만남"과 "비밀은 없어"로 인기를 얻었으며, 1995년 2집 《날개 잃은 천사》가 큰 성공을 거두며 톱스타 반열에 올랐다. 1990년대 후반 표절 논란과 멤버 교체, 재결합과 해체를 반복했으며, 2009년 9집 앨범 《A9ain - Again》을 발표했으나 현재는 이상민, 김지현, 채리나 3인조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소녀대
소녀대는 1983년 결성되어 1989년 해체된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으로, 아시아 시장 공략과 서울 올림픽 이미지송 발표 등을 통해 활동했으며, 해체 후 재결성되기도 했다. - 1999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TM NETWORK
TM NETWORK는 1984년 데뷔한 우쓰노미야 타카시, 키네 나오토, 코무로 데쓰야로 구성된 일본의 3인조 음악 유닛으로, 혁신적인 음악과 독창적인 무대 연출, 그리고 "Get Wild"와 "Beyond the Time" 등의 히트곡으로 일본 대중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까지도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 음악가 - 싸이
1977년생 대한민국 가수 겸 음반 제작자인 싸이는 2001년 데뷔 후 독특한 스타일로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을 겪었고, 2012년 "강남스타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후 "젠틀맨", "행오버"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2019년 기획사 P NATION을 설립하여 활동하고 있다. -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 음악가 - 핑클
1998년 데뷔한 핑클은 이효리, 옥주현, 이진, 성유리 네 명으로 구성된 1세대 걸그룹으로, '자유를 억압하는 것을 우리가 끝낸다'는 의미를 지니며, 다수의 히트곡과 활발한 활동으로 큰 인기를 얻었고, 2019년 재결합 후 활동을 재개하는 등 대한민국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룰라 (음악 그룹)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그룹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장르 | 힙합 댄스 팝 레게 |
활동 기간 | 1994년 – 2001년 2009년 |
레이블 | 해당 사항 없음 |
구성원 | |
현재 구성원 | 김지현 이상민 채리나 |
이전 구성원 | 신정환 고영욱 Mikey Romeo |
2. 역사
룰라는 1994년 이상민, 김지현, 고영욱, 신정환을 멤버로 하여 데뷔하였다. 데뷔 앨범 《Roots Of Reggae》의 "백일째 만남"과 "비밀은 없어"로 활동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27] 1집 활동 도중 신정환이 군 입대로 탈퇴하자 채리나가 합류하였는데, 원래는 김송이 유력한 후보였으나 불발되었다. 당시 라이벌 그룹 투투에게 밀리는 듯했으나, 투투가 주춤하는 사이 1995년 3월 발표한 2집 《날개 잃은 천사》가 크게 히트하며 톱스타 반열에 올랐다.
하지만 1995년 말에 발표한 3집 《천상유애》의 타이틀곡 "천상유애"가 표절 시비에 휘말리면서[5] 이미지가 추락하고 침체기를 맞았다. "천상유애"는 일본 그룹 닌자의 "오마츠리 닌자"를 무단 샘플링한 것으로 밝혀졌는데,[5] 이는 "대중음악에서의 한국성"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6]
1996년 여름, 듀스의 前 멤버 이현도의 프로듀싱으로 4집 《All System Go》를 발표하고, 타이틀곡 "3!4!"가 히트하면서 부활했다.
2009년에는 마지막 정규 9집 《A9ain - Again》을 발표하고 "Going Going"으로 활동하였다.[9] 이후 룰라는 2019년까지 고영욱을 제외한 이상민, 김지현, 채리나 3인 체제로 공연, 방송 활동 위주로 팀을 이어가고 있다.[28][29]
2. 1. 전성기 (1995-1997)
1995년 3월, 정규 2집 《날개 잃은 천사》가 큰 히트를 하며 톱스타 반열에 올랐다.[27] 그러나 그해 연말, 정규 3집 앨범 타이틀곡 《천상유애》가 표절 시비에 휘말리며[5] 이미지가 한순간에 추락, 침체기를 맞았다.1996년 6월, 정규 4집 《All System Go》를 발표, 타이틀곡 "3!4!"가 큰 인기를 얻으며 명성을 회복하였다.[28] 그러나 정규 4집 활동 마감 후 멤버 김지현이 탈퇴하였고, 룰라는 흑인 가수 마이키 로메오를 객원 래퍼로 영입하여 1997년 1월 정규 5집 《The Final》을 발표, 다시 한번 1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28]
《The Final》은 각종 구설수로 인해 해체를 공식 선언하며 녹음한 앨범이다.[28] 리더 이상민이 처음으로 프로듀싱을 맡았고, 수록곡 "연인"이 히트했지만, 룰라는 예고대로 해체했다.[28][29]
2. 2. 재결합과 활동 중단 (1999-2009)
1999년 이상민은 솔로 데뷔에 실패한 김지현을 포함한 멤버들을 다시 불러모아 재결성했다. 그해 2월 정규 6집 《Six N Six》를 발표, 라틴 리듬의 댄스곡 "기도"를 각종 차트 1위에 올리면서 부활에 성공했다. 이듬해 6월에는 정규 7집 《풍변기곡(風變旗曲)》을 발표하며 국악 느낌을 살린 새로운 음악과 의상으로 화제를 모았다.[28][29]하지만 멤버들은 다시 개별 활동에 들어갔고, 김지현은 영화 "썸머타임"에 출연해 대담한 정사신으로 화제를 모으며 연기자의 길로 들어섰다. 2001년 7월 룰라는 고영욱의 입대와 함께 발표한 정규 8집 《Best&Last》를 마지막으로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게 됐다.[28][29]
이후 이상민은 사업과 다양한 활동을 통해 수많은 이슈를 만들어 냈다. 룰라의 음반을 시작으로 컨츄리꼬꼬, 샵, 디바, 샤크라 등 수많은 가수와 앨범을 제작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테마 엔터테인먼트 레스토랑 "김미파이브"를 통해 종합격투기를 직접 관람하며 다양한 쇼와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는 국내 최초, 최대 라이브 스포츠 엔터 레스토랑으로 자리를 잡으며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김미파이브'를 체인화하기 위해 시행사업에 뛰어들었던 이상민은 부동산 개발에 대한 정부의 제한적인 정책 제제 및 부동산법 제정 등으로 위기를 맞았다. 사업 좌초와 이혼이라는 개인적인 아픔을 겪은 이상민은 "다시 한번 도전을 준비하고 있다"라며 룰라 컴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고, 2009년 7월 8년 만에 룰라 멤버들을 불러모아 마지막 정규 9집 《A9ain - Again》을 발표, "Going Going"으로 활동했다.[28][29] 이후 룰라는 더 이상 앨범을 발표하지 않고 있지만, 2019년까지 고영욱을 제외한 이상민, 김지현, 채리나 3인의 체제로 공연, 방송 활동 위주로 팀을 이어가고 있다.[28][29]
3. 구성원
룰라는 이상민, 김지현, 채리나, 고영욱으로 구성된 혼성 그룹이다. 초기에는 이상민, 고영욱, 김지현, 신정환으로 구성되었으나, 1995년 신정환이 군 복무로 탈퇴하면서 채리나가 합류했다.[10] 1997년에는 김지현이 솔로 활동을 위해 탈퇴하고,[2] 임시 보컬 마이키 로미오가 합류했다.[11] 이후 김지현은 1999년에 다시 합류했다.[12] 2001년 룰라 해체 이후, 2009년에 이상민, 채리나, 고영욱, 김지현이 재결합했다.[13]
과거 구성원 중 신정환은 1집에만 참여하고 탈퇴하여 탁재훈과 함께 컨츄리 꼬꼬로 활동했다. 고영욱은 2013년 발생한 위법 행위로 인해 연예 활동이 전면 중단되었다.
3. 1. 현재 구성원
3. 2. 이전 구성원
4. 논란
1996년, 룰라가 일본 노래를 무단으로 샘플링하여 "천상유애"를 발표하면서 큰 논란이 일어났다.[5]
이는 대중음악에서 한국적인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1990년대 중반 잠재되어 있던 민감한 문제를 수면 위로 떠오르게 했다.[6] 이 논란으로 그룹은 해체될 위기에 놓였지만,[6] 결국 2001년에 해체되었다.[7]
4. 1. "천상유애" 표절 논란
1996년, 룰라는 일본 보이 그룹 닌자(Ninja)의 곡 "오마쓰리 닌자"(お祭り忍者|오마쓰리 닌자일본어)를 무단으로 샘플링하여 자신들의 곡 "천상유애"(天上有愛|천상유애중국어)에 사용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5]이 사건은 "대중음악에서의 한국성"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6] 1990년대 중반에 잠재되어 있던 이 민감한 문제를 수면 위로 떠오르게 했다. 이 논란으로 인해 1996년 그룹은 해체될 위기에 놓였다.[6]
5. 음반 목록
(베스트)